소개
국가중요농업유산이란?
농업유산
-
농업생산
식량생산, 생계유지 농산물 생산, 경제적 가치 확보 지속 가능한 생산과 농업환경 유지 -
농업경관
토지이용, 농업경관 형성 농산물 생산, 경제적 가치 확보 지속 가능한 생산과 농업환경 유지 -
전통문화
전통지식, 농업문화 전승 농산물 생산, 경제적 가치 확보 지속 가능한 생산과 농업환경 유지 -
환경생태
생물다양성 및 환경보전 종다양성, 유전자원 확보 지속적인 환경보전
- 지역의 환경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되고 발달해온 농업기술, 생물 다양성, 농업문화, 공동체 활동, 경관 등을 포함한 유·무형 자원
- 2002년 세계식량농업기술(FAO) 세계중요농업유산, 2012 국가중요농업유산제도(Nation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 NIAHS) 도입
- 2015년 농업유산의 보전 활용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농어업인의 삶의 질 법 제30조의 2)
- 농업유산은 ‘살아 있는 유산’ 농업유산은 정치·사회·경제·문화·생태 등 환경변화에 적응하면서 진화하고 있는 살아 있는 유산
- 인류의 진화, 자연과의 심오한 조화를 반영하는 수 세대에 걸쳐 축적된 전통지식과 실천을 토대로 한 농업시스템
- 탁월한 미적 아름다움
- 농업생물 다양성과 생태계의 복원력
- 귀중한 문화유산의 창출
- 깎아지른 절벽에 만들어진 다랑논이나 수백 년 된 차나무 등과 같이 수세대에 걸쳐 완성된 독특한 농경 활동이나 문화의 산물을 말합니다.
- FAO는 농업유산을 “지역사회와 그 환경이 지속 가능한 발달의 필요와 열망의 상호적응으로 진화한 것으로 세계적으로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며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토지 이용 시스템과 경관”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인류가 축적된 지식과 경험에 기초하여 인류의 발달과 자연의 조화에 이바지했음을 강조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독특한 농업유산은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친 산업혁명과 과학기술발달로 많이 사라졌습니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 남아 있는 농업유산들은 세계농업문화와 환경보호라는 관점에서 매우 소중한 가치를 가지게 됩니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현황
- 지역의 환경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되고 발달해온 농업기술, 생물 다양성, 농업문화, 공동체 활동, 경관 등을 포함한 유·무형 자원
- 국가중요농업유산은 2013년 제1호 청산도 구들장 논 및 제2호 제주 밭 담 지정을 시작으로 2022년 제17호 창원 독뫼 감 농업까지 총 17개의 농업유산이 지정되었으며, 그 중 상주 전통 곶감농업은 2019년 제15호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번호 | 제1호 | 명칭 | 청산도 구들장논 | 지정범위 | 완도 청산도 전역 |
---|---|---|---|---|---|
주요 특징 | 급경사로 돌이 많고 물빠짐이 심하여 논농업이 불리한 자연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전통 온돌방식을 도입, 독특한 구들장 방식의 통수로와 논 조성 |

지정번호 | 제2호 | 명칭 | 제주 밭담 | 지정범위 | 제주도 전역 |
---|---|---|---|---|---|
주요 특징 | 돌, 바람이 많은 척박한 자연혼경을 극복하기 위해 밭담을 쌓아 바람과 토양유실 방지, 농업 생물다양성, 수려한 농업경관 형성 |

지정번호 | 제3호 | 명칭 | 구례 산수유농업 | 지정범위 | 구례군 산동면 |
---|---|---|---|---|---|
주요 특징 | 생계 유지를 위해 집과 농경지 주변 등에 산수유를 심어 주변 경관과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경관 형성, 다양한 생물 서식지, 시비와 씨제거 등 전통농법 |

지정번호 | 제4호 | 명칭 | 담양 대나무밭 | 지정범위 | 담양읍 삼다리 |
---|---|---|---|---|---|
주요 특징 |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이며 대 나무숲은 독특한 농업경관 형성, 죽초액과 대나무을 활용하여 병충해 방재 및 토양개량 등 전통농법 |

지정번호 | 제5호 | 명칭 | 금산 인삼농업 | 지정범위 | 금산군 일원 |
---|---|---|---|---|---|
주요 특징 | 인삼재배의 최적지, 재배지 선정, 관리, 재배, 채굴, 가공 등 전통농법 유지, 주변 산과 하천이 어우러지는 경관 형성 |

지정번호 | 제6호 | 명칭 | 하동 전통차농업 | 지정범위 | 하동군 화개면 일대 |
---|---|---|---|---|---|
주요 특징 | 생계유지를 위해 1,200년 동안 전승된 전통적인 농업, 풀비배 등 전통방식의 차 재배 유지, 차밭 주변의 산림과 바위가 어우러지는 독특한 경관 형성 |

지정번호 | 제7호 | 명칭 |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 | 지정범위 | 울진군 금강송면 북면 일대 |
---|---|---|---|---|---|
주요 특징 | 왕실에서 황장봉산으로 지정 관리, 산림을 보호하기 위해 송계와 산림계를 조직하여 관리, 주변계곡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 형성 |

지정번호 | 제8호 | 명칭 | 부안 유유동 양잠농업 | 지정범위 | 부안군 변산면 유유동 일대 |
---|---|---|---|---|---|
주요 특징 | 뽕재배에서 누에 사육 등 일괄시스템이 보전, 관리되고 친환경적 뽕나무 재배, 생물다양성, 주변 산림과 뽕나무밭이 조화된 우수한 경관 |

지정번호 | 제9호 | 명칭 | 울릉 화산선 밭농업 | 지정범위 | 울릉군 일대 |
---|---|---|---|---|---|
주요 특징 | 급경사지 밭을 일구면서 띠녹지를 조성하여 토양유실 방지하고 주변 산림지역의 유기물을 활용하였으며, 울릉에 자생하는 식물을 재배하였고, 산림과 해안이 어우러지는 패치형태의 독특한 경관 |

지정번호 | 제10호 | 명칭 |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 | 지정범위 | 의성군 금성면 등 4개면 일원 |
---|---|---|---|---|---|
주요 특징 | 삼한시대 조문국시대부터 2,000년의 농업역사를 가지고 있는 금성면 일대는 약 1,500개의 제언이 축조, 이를 통해 농업용수를 저장, 활용함으로써 이모작 전환시스템 구축 |

지정번호 | 제11호 | 명칭 | 보성 전통차 농업시스템 | 지정범위 | 보성군 일원 |
---|---|---|---|---|---|
주요 특징 | 새끼줄을 기준삼아 경사지 등고선에 따라 간격과 수평을 맞추는 계단식 차밭 조성 기술과 경관 형성 |

지정번호 | 제12호 | 명칭 | 장흥 발효차 청태전 농업시스템 | 지정범위 | 장흥군 일원 |
---|---|---|---|---|---|
주요 특징 | 반음반양의 차 재배환경 조성 및 친환경 농법, 발효차 전통 제다 지식체계, 굽는 과정이 추가되는 독특한 청태전 음다법 등 구축, 전승 |

지정번호 | 제13호 | 명칭 | 완주 생강 전통농업시스템 | 지정범위 | 완주군 일원 |
---|---|---|---|---|---|
주요 특징 | 겨울철 생강종자 보관을 위해 토굴을 활용한 저장시스템으로 농가의 아궁이열을 이용한 온돌방식, 수직강하 방식 등이 |

지정번호 | 제14호 | 명칭 | 고성 해안지역 둠벙 관개시스템 | 지정범위 | 고성군 일원 |
---|---|---|---|---|---|
주요 특징 |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둠벙을 조성하고 활용하여 빗물이 바다로 빠져나가는 해안지역의 자연적 특성 극복 |

지정번호 | 제15호 | 명칭 | 상주 전통 곶감농업 | 지정범위 | 상주시 일원 |
---|---|---|---|---|---|
주요 특징 | ‘상주둥시’ 전통 품종보전을 통해 감 재배 적지선정.관리.가공 등 곶감의 전통적 방식 계승 |

지정번호 | 제16호 | 명칭 | 강진 연방죽 생태순환 수로 농업시스템 | 지정범위 | 강진군 작천면 병영면 일원 |
---|---|---|---|---|---|
주요 특징 | 16개의 연방죽과 200여개의 둠벙, ‘병영성’과 수로 등 독특한 하멜식 물순환 수리체계 보전, 한들평야와 연방죽의 특별한 경관 형성 |

지정번호 | 제17호 | 명칭 | 창원 독뫼 감 농업 | 지정범위 | 창원 동읍·북면·대산면 일대 |
---|---|---|---|---|---|
주요 특징 | 국내 과수 가운데 유일한 세계 1위 품목인 단감 대표 재배지역으로 독뫼농업, 둠벙이용, 구덩이시비법 등 감재배 고유한 환경과 기술을 이어가고 있음 |

지정번호 | 제18호 | 명칭 | 서천 한산모시 전통농업 | 지정범위 | 서천군 한산면, 비인면 일원 |
---|---|---|---|---|---|
주요 특징 | 고려시대부터 현재까지 100%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모시재배부터 모시짜기 전 과정이 현재까지 전승․발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