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

국가중요농업유산이란?

농업유산

  • 농업생산

    식량생산, 생계유지 농산물 생산, 경제적 가치 확보 지속 가능한 생산과 농업환경 유지
  • 농업경관

    토지이용, 농업경관 형성 농산물 생산, 경제적 가치 확보 지속 가능한 생산과 농업환경 유지
  • 전통문화

    전통지식, 농업문화 전승 농산물 생산, 경제적 가치 확보 지속 가능한 생산과 농업환경 유지
  • 환경생태

    생물다양성 및 환경보전 종다양성, 유전자원 확보 지속적인 환경보전
  • 지역의 환경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되고 발달해온 농업기술, 생물 다양성, 농업문화, 공동체 활동, 경관 등을 포함한 유·무형 자원
    • 2002년 세계식량농업기술(FAO) 세계중요농업유산, 2012 국가중요농업유산제도(Nation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 NIAHS) 도입
    • 2015년 농업유산의 보전 활용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농어업인의 삶의 질 법 제30조의 2)
  • 농업유산은 ‘살아 있는 유산’ 농업유산은 정치·사회·경제·문화·생태 등 환경변화에 적응하면서 진화하고 있는 살아 있는 유산
  • 인류의 진화, 자연과의 심오한 조화를 반영하는 수 세대에 걸쳐 축적된 전통지식과 실천을 토대로 한 농업시스템
    • 탁월한 미적 아름다움
    • 농업생물 다양성과 생태계의 복원력
    • 귀중한 문화유산의 창출
  • 깎아지른 절벽에 만들어진 다랑논이나 수백 년 된 차나무 등과 같이 수세대에 걸쳐 완성된 독특한 농경 활동이나 문화의 산물을 말합니다.
    • FAO는 농업유산을 “지역사회와 그 환경이 지속 가능한 발달의 필요와 열망의 상호적응으로 진화한 것으로 세계적으로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며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토지 이용 시스템과 경관”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인류가 축적된 지식과 경험에 기초하여 인류의 발달과 자연의 조화에 이바지했음을 강조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독특한 농업유산은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친 산업혁명과 과학기술발달로 많이 사라졌습니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 남아 있는 농업유산들은 세계농업문화와 환경보호라는 관점에서 매우 소중한 가치를 가지게 됩니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현황

  • 지역의 환경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되고 발달해온 농업기술, 생물 다양성, 농업문화, 공동체 활동, 경관 등을 포함한 유·무형 자원
    • 국가중요농업유산은 2013년 제1호 청산도 구들장 논 및 제2호 제주 밭 담 지정을 시작으로 2022년 제17호 창원 독뫼 감 농업까지 총 17개의 농업유산이 지정되었으며, 그 중 상주 전통 곶감농업은 2019년 제15호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번호 제1호 명칭 청산도 구들장논 지정범위 완도 청산도 전역
주요 특징 급경사로 돌이 많고 물빠짐이 심하여 논농업이 불리한 자연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전통 온돌방식을 도입, 독특한 구들장 방식의 통수로와 논 조성
지정번호 제2호 명칭 제주 밭담 지정범위 제주도 전역
주요 특징 돌, 바람이 많은 척박한 자연혼경을 극복하기 위해 밭담을 쌓아 바람과 토양유실 방지, 농업 생물다양성, 수려한 농업경관 형성
지정번호 제3호 명칭 구례 산수유농업 지정범위 구례군 산동면
주요 특징 생계 유지를 위해 집과 농경지 주변 등에 산수유를 심어 주변 경관과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경관 형성, 다양한 생물 서식지, 시비와 씨제거 등 전통농법
지정번호 제4호 명칭 담양 대나무밭 지정범위 담양읍 삼다리
주요 특징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이며 대 나무숲은 독특한 농업경관 형성, 죽초액과 대나무을 활용하여 병충해 방재 및 토양개량 등 전통농법
지정번호 제5호 명칭 금산 인삼농업 지정범위 금산군 일원
주요 특징 인삼재배의 최적지, 재배지 선정, 관리, 재배, 채굴, 가공 등 전통농법 유지, 주변 산과 하천이 어우러지는 경관 형성
지정번호 제6호 명칭 하동 전통차농업 지정범위 하동군 화개면 일대
주요 특징 생계유지를 위해 1,200년 동안 전승된 전통적인 농업, 풀비배 등 전통방식의 차 재배 유지, 차밭 주변의 산림과 바위가 어우러지는 독특한 경관 형성
지정번호 제7호 명칭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 지정범위 울진군 금강송면 북면 일대
주요 특징 왕실에서 황장봉산으로 지정 관리, 산림을 보호하기 위해 송계와 산림계를 조직하여 관리, 주변계곡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 형성
지정번호 제8호 명칭 부안 유유동 양잠농업 지정범위 부안군 변산면 유유동 일대
주요 특징 뽕재배에서 누에 사육 등 일괄시스템이 보전, 관리되고 친환경적 뽕나무 재배, 생물다양성, 주변 산림과 뽕나무밭이 조화된 우수한 경관
지정번호 제9호 명칭 울릉 화산선 밭농업 지정범위 울릉군 일대
주요 특징 급경사지 밭을 일구면서 띠녹지를 조성하여 토양유실 방지하고 주변 산림지역의 유기물을 활용하였으며, 울릉에 자생하는 식물을 재배하였고, 산림과 해안이 어우러지는 패치형태의 독특한 경관
지정번호 제10호 명칭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 지정범위 의성군 금성면 등 4개면 일원
주요 특징 삼한시대 조문국시대부터 2,000년의 농업역사를 가지고 있는 금성면 일대는 약 1,500개의 제언이 축조, 이를 통해 농업용수를 저장, 활용함으로써 이모작 전환시스템 구축
지정번호 제11호 명칭 보성 전통차 농업시스템 지정범위 보성군 일원
주요 특징 새끼줄을 기준삼아 경사지 등고선에 따라 간격과 수평을 맞추는 계단식 차밭 조성 기술과 경관 형성
지정번호 제12호 명칭 장흥 발효차 청태전 농업시스템 지정범위 장흥군 일원
주요 특징 반음반양의 차 재배환경 조성 및 친환경 농법, 발효차 전통 제다 지식체계, 굽는 과정이 추가되는 독특한 청태전 음다법 등 구축, 전승
지정번호 제13호 명칭 완주 생강 전통농업시스템 지정범위 완주군 일원
주요 특징 겨울철 생강종자 보관을 위해 토굴을 활용한 저장시스템으로 농가의 아궁이열을 이용한 온돌방식, 수직강하 방식 등이
지정번호 제14호 명칭 고성 해안지역 둠벙 관개시스템 지정범위 고성군 일원
주요 특징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둠벙을 조성하고 활용하여 빗물이 바다로 빠져나가는 해안지역의 자연적 특성 극복
지정번호 제15호 명칭 상주 전통 곶감농업 지정범위 상주시 일원
주요 특징 ‘상주둥시’ 전통 품종보전을 통해 감 재배 적지선정.관리.가공 등 곶감의 전통적 방식 계승
지정번호 제16호 명칭 강진 연방죽 생태순환 수로 농업시스템 지정범위 강진군 작천면 병영면 일원
주요 특징 16개의 연방죽과 200여개의 둠벙, ‘병영성’과 수로 등 독특한 하멜식 물순환 수리체계 보전, 한들평야와 연방죽의 특별한 경관 형성
지정번호 제17호 명칭 창원 독뫼 감 농업 지정범위 창원 동읍·북면·대산면 일대
주요 특징 국내 과수 가운데 유일한 세계 1위 품목인 단감 대표 재배지역으로 독뫼농업, 둠벙이용, 구덩이시비법 등 감재배 고유한 환경과 기술을 이어가고 있음
지정번호 제18호 명칭 서천 한산모시 전통농업 지정범위 서천군 한산면, 비인면 일원
주요 특징 고려시대부터 현재까지 100%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모시재배부터 모시짜기 전 과정이 현재까지 전승․발전